
자동심장충격기(AED)는 급성 심정지 환자, 또는 심장박동 기능을 잃어버린 사람에게 전기충격을 주어 심장을 정상 상태로 회복시키는,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를 말합니다. 최근 법령 개정으로 공항, 철도, 선박, 다중이용시설 등에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를 의무화하면서 일반인들도 사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또한 우리나라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은 100명 중 5명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응급상황에 대한 대비 교육으로 자동심장충격기 교육이 각광받고 있습니다.


해외 여러 나라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를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일반인이 인명 구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왔으며,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6월 15일부터 「응급의료에 관한 법률」 개정안이 발효되면서 지정된 공공장소에 자동심장충격기를 비치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, 사용법은 어떠한지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습니다. 그 결과를 말해주듯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40%에 달하는 미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4.6%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.
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른 응급 조치가 필수적이므로 119 신고 후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에 최대한 빨리 심폐소생술과 함께 제세동을 할 수 있도록 자동심장충격기가 비치된 위치나 사용법 등을 알고 있다면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.


의료기관 | 호텔/리조트 | 경호업체 | 일반기업 | 관련학과 학생 |
항공/공항 | 경찰서 | 소방서 | 교육기관 | 군대/훈련시설 |
응급처치 교육기관 | 구조센터 | 보육기관 | 복지시설 |
레저/체육시설 |
